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만 65세 이상 폐렴구균 무료 예방접종 대상자 및 부작용

by 뤼마인드 2023. 4. 7.

나이가 들수록 더욱 조심해야 하는 질환 중 하나는 폐렴입니다. 국내 사망원인 3 위인만큼 치명적인 질병이지요. 대부분이 폐렴에 감염된 사람의 침이나 콧물로 감염되지만 호흡기질환은 앓은 후에도 폐렴을 걸릴 수도 있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1회만으로도 뇌수막염이나 패혈증 등 심각한 합병증을 50~80%까지 예방할 수 있으니 각 시군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만 65세 어르신들에게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무료로 접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폐렴

 
면역력이 약한 어르신과 만성 질환자에게 굉장히 취약한 질병을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감염돼 기관지, 폐에 염증이 생기는 호흡기 질환입니다. 폐에 염증이 생기면 기침을 하고 끈적한 가래가 많이 생기며 폐 기능 저하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만약 염증이 폐의 흉막까지 침범하면 구토, 설사 등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세균성 폐렴을 유발하는 대표 원인균인 폐렴구균은 백신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5세 미만은 13가 단백결합 백신을 접종하게 되며 만 65세 이상은 현재 운영하고 있는 국가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 부담금없이 접종이 가능합니다.  
 

13가 단백 결합 백신 1회 접종 후 재접종이 필요하지 않음
23가 다당류 백신 65세 이전에 접종했거나 접종 후 5년 지났다면 재접종 권고

 
* 만 65세 어르신 중 만성질환자는 13가 단백결합백신을 1회 접종 (자기 부담)을 하며, 1년 후 23가 다당류 백신 (자기 부담 x)을 1회 순차 접종하는 것이 좋습니다. 
 

 
 
폐렴구균 무료 예방접종 대상자 및 준비물

 
만 65세 이상 (1958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중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 접종을 한번도 받지 않은 어르신들 대상으로 무료접종이 가능하며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하여 가까운 보건기관 및 관내 위탁의료기간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부작용
 

발열, 근육통, 호흡곤란, 목 부음 등이 나타나는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부작용은 일시적이지만 심각해진다면 보검소나 병원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